본문 바로가기
tip

나이스(NICE) 지키미 신용평가사 추정소득 무료 확인방법

 

나이스(NICE) 지킴이를 이용하여 내 추정소득을 알아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가 대출을 이용하고자 할 때 금융기관에서는 개인의 부채상환 능력을 판단하기 위해서 소득증빙자료를 요청합니다.  매월 고정적으로 급여를 받는 직장인이라면 소득증빙을 하는데 별다른 어려움이 없지만 사업자나 무직자 또는 주부님들 같은 경우는 마땅한 증빙을 제시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분들은 신용평가사(CB)의 추정소득을 증빙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대출상품에 따라 CB추정소득을 인정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요. 어쨌든 무직자나 주부님들은 이를 적당히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시면 될 것 같습니다.

 

썸네일-나이스-지키미-추정소득

 

나이스 지킴이 추정소득 확인

신용평가사 추정소득은 올크레디트(KCB) 나이스(NICE) 모두가 제공하고 있습니다.  추정소득은 두 군데 모두 유료 회원만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이긴 한데요, 나이스 지킴이에서는 유료 회원이 아니어도 간단하게나마 내 추정소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나이스 지킴이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검색창에 '나이스 지킴이'로 검색하시거나 아래 "바로가기" 버튼을 누르세요.

 

나이스 지킴이 바로가기

나이스 지킴이 홈페이지로 연결합니다.

 

(2) 나이스 지키미 홈페이지에 로그인합니다.  아직 회원이 아니시라면 네이버나 카카오로 간편하게 회원가입할 수 있습니다.

나이스-지키미-홈페이지-로그인

 

(3) "지켜주는 금융생활" 메뉴에서 "DSR 계산기"를 선택하세요.

 

 

DSR계산기-메뉴-선택

 

(4) "DSR 계산하기" 버튼을 누르세요.

DSR계산하기-버튼-누르기

 

(5) NICE 신용평가사가 추정한 나의 연소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NICE추정-연소득-확인

 

정식적으로 제공되는 기능을 이용한 것은 아니지만 나의 추정소득을 간단하게나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추정소득은 공식적인 소득신고자료 대신에 신용카드사용액, 성별, 연령, 직장, 주거 등을 근거로 말 그대로 소득을 추정한 것입니다.  추정방식은 신용평가사별로 조금씩 달라서 추정 소득금액도 CB사별로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나이스 지키미에서는 내 신용점수를 1년에 3번 무료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방법은 아래 링크를 통해서 확인해 주세요.

 

나이스 신용점수 무료 조회하기

 

 

제목-배경-나이스-지키미-추정소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