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나래통장은 자녀의 교육비 마련을 위한 저축을 지원해 주는 사업입니다. 해당 사업에 선정되면 내가 매달 저금하는 돈의 50% 또는 100%를 3년 또는 5년 동안 서울시에서 추가로 매칭해 줍니다. 올해 2023년 신청기간이 공고되었는데요, 신청자격 및 신청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꿈나래통장이란?
꿈나래통장은 자녀 교육비를 마련하기 위해 일정금액을 저축하면 그 금액에 서울시가 일정금액을 추가로 적립해 주는 통장입니다.

◇ 2023년 신청일정
▶ 신청기간
- 6.12(월) ~ 6.23(금) 09:00 ~ 18:00
▶ 신청장소
- 주소지 동주민센터
◇ 신청자격
공고일(23.5.22) 기준에 아래의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신청할 자격이 주어집니다.
- 서울시 거주자
- 만 14세 이하인 자녀를 둔 만 18세 이상 부모 등(친권자, 후견인)
- 동일 가구원의 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80% 이하 가구
※ 단, 3자녀 이상 가구의 경우 기준중위소득 90% 이하
※ 자녀가 여러 명이어도 한 가정에 한 명만 신청 가능
▶ 2023년 중위소득
가구원수 | 중위소득 80% | 중위소득 90% |
2인 | 2,764,924 | 3,110,540 |
3인 | 3,547,853 | 3,991,334 |
4인 | 4,320,771 | 4,860,868 |
5인 | 5,064,550 | 5,697,619 |
6인 | 5,782,385 | 6,505,183 |
※ 신청제외 대상
신청인 및 가구원이 유사사업에 참여 중이거나 참여한 이력이 있다면 신청할 수 없습니다.
▶ 신청인 본인의 중복가입 불가
-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 서울시 희망플러스통장
- 서울시 꿈나래통장
- 서울시 이룸통장
- 보건복지부 디딤씨앗통장
▶ 신청인 가구원의 중복가입 불가
- 서울시 희망플러스통장
- 서울시 꿈나래통장
- 서울시 이룸통장
- 보건복지부 디딤씨앗통장

◇ 지원내용
신청인의 자녀 교육비 마련 목적의 저축에 아래와 같이 지원합니다.
▶ 생계·의료급여 수급자
본인저축액 | 매칭지원액 | 3년 적립 시 | 5년 적립 |
5만원 | 5만원 | 360만원 | 600만원 |
7만원 | 7만원 | 504만원 | 840만원 |
10만원 | 10만원 | 720만원 | 1,200만원 |
▶ 주거·교육급여 수급자 및 비수급자
본인저축액 | 매칭지원액 | 3년 적립 시 | 5년 적립 |
5만원 | 2.5만원 | 270만원 | 450만원 |
7만원 | 3.5만원 | 378만원 | 630만원 |
10만원 | 5만원 | 540만원 | 900만원 |
º12만원 | 6만원 | 648만원 | 1,080만원 |
º 본인저축액 12만원은 3자녀 이상이면서 주거·교육급여 수급자 및 비수급자인 경우 신청가능
◇ 신청방법
주소지 동주민센터에서 접수합니다.
신청방법
주소지 동주민센터에 방문하거나 우편 또는 이메일로 접수 가능합니다.
- 방문 : 근무일 중 09:00 ~ 18:00 접수분
- 우편 : 접수마감일 18:00까지 동주민센터 도착분
- 이메일 : 접수마감일 18:00까지 동주민센터 담당자 메일함에 도착분
※ 단, 이메일 제출은 반드시 사전에 주소지 동주민센터에 문의한 후 제출해야 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출서류
제출서류 양식은 서울시, 서울시복지재단, 25개 자치구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 필수서류
- 가입신청서
- 개인정보제공동의서 : 본인
- 사회보장급여신청(변경)서 : 본인·가구원
- 금융정보제공동의서 : 본인
- 주민등록초본 [온라인 발급:정부24]
- (발급기준) 신청인 본인
- ※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과거의 주소 변동사항 전체포함[선택발급 불가] 선택
- 가족관계증명서(일반) [온라인 발급:정부24]
- (발급기준) 신청인 본인, 후견인 신청의 경우 대상아동 ※ 주민등록번호 전부 공개 선택
- 기본증명서(특정-친권‧미성년후견 현재) [온라인 발급:정부24]
- (발급기준) 대상아동
- ※ 주민등록번호 전부 공개 선택
▶ 추가서류
- 주거 증빙
- - 전월세 거주 시 임대차계약서 사본 ※ 본인과 배우자 세대분리되어 있는 경우 각각 제출
- 가구 특성
- ※ 해당사항 있는 경우 모두 제출, 제출자에 한해 반영 단, 3자녀 이상 가구, 다문화가구는 별도의 추가서류 없이 필수서류로 확인
- (한부모가족) 한부모가족증명서
- (65세 이상 노인 부양) 주민등록등본 ※ 65세 이상:1958. 12. 31. 이전 출생
- (장애인 또는 장애인 부양) 장애인증명서 * 부양인 경우 주민등록등본 함께 제출
- (국가보훈) 국가유공자(유족) 확인 또는 국가유공자에 준하는 군경(유족 또는 가족)등 확인서 또는 보훈보상대상자(유족) 확인 등
- (북한이탈) 북한이탈주민확인서
모집인원
총 300명을 모집하며 구별 배정인원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별 인원 배정현황 | |||||
종로구 | 5 | 도봉구 | 11 | 영등포 | 10 |
중구 | 5 | 노원구 | 23 | 동작구 | 10 |
용산구 | 7 | 은평구 | 18 | 관악구 | 18 |
성동구 | 8 | 서대문 | 8 | 서초구 | 5 |
광진구 | 10 | 마포구 | 8 | 강남구 | 11 |
동대문 | 12 | 양천구 | 13 | 송파구 | 13 |
중랑구 | 20 | 강서구 | 23 | 강동구 | 13 |
성북구 | 12 | 구로구 | 11 | ||
강북구 | 16 | 금천구 | 10 |
선발방법
선발방법 및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 1차 심사
- 신청자격 적합 확인
▶ 2차 심사
선정심사표에 따라 고득점순으로 선발
- 가구의 소득 수준
- 가구원수
- 서울시 거주기간
- 지원의 시급성
- 가구특성
- 저축액 마련 및 사용계획
▶ 최종대상 발표
- 2023.10.13 (금) 예정
- 서울시 복지재단 홈페이지(https://www.welfare.seoul.kr)
문의처
서울시 꿈나래통장 콜센터 ☎ 1688-1453
다산콜센터 ☎ 120
지금까지 2023년 꿈나래통장 신청자격 및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자격요건이 되신다면 꼭 신청해서 도움받으시길 바랍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금포인트 조회, 사용처-할인 쇼핑몰, 인천공항, 할인쿠폰 등 (0) | 2023.06.26 |
---|---|
충남 다자녀행복키움 카드 신청자격 및 발급, 혜택 (0) | 2023.06.17 |
경남 아이 다누리카드 자격 및 발급, 혜택 (0) | 2023.06.04 |
희망두배 청년통장 신청서 작성 방법 (0) | 2023.06.01 |
전남 다자녀행복카드 자격 및 발급, 혜택 (0) | 2023.05.27 |
댓글